X
서해선 개통 대비 재난대응훈련 [국가철도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세철 기자 = 국토교통부는 서해선(홍성∼서화성), 장항선(신창∼홍성), 포승∼평택선(안중∼평택) 3개 노선이 오는 2일 오루 3시 동시 개통한다고 밝혔다.
이번 노선 개통으로 서해안 항만과 내륙을 잇는 화물 철도망의 기능이 확충돼 서해안 권역의 성장을 촉진할 원동력이 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했다.
X
서해선·장항선·평택선 동시 개통 [국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토부에 따르면 서해선은 홍성역에서 경기 화성시 서화성역까지 연장 90㎞의 복선 전철 신설 노선이다. 총사업비 4조1천217억원이 투입됐다.
이 노선에는 ITX-마음 열차가 하루 왕복 8회 운행한다. 소요시간은 약 1시간이다.
오는 2026년 3월 신안산선 서화성∼원시 구간이 개통되면, 홍성역에서 고양 대곡역 구간에는 시속 250㎞급 KTX-이음을 투입할 계획이다. 신안산선 개통 전까지는 서화성역에서 안산 초지역까지 열차 운행 시간과 연동해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X
아산고가 아치교 [국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을 잇는 연장 154.4㎞의 노선으로, 1930년에 단선 비전철로 최초 건설됐던 구간이 단계적으로 복선 전철화되고 있다.
2008년 천안∼신창(아산) 구간에 이어 이번에 신창∼홍성 36.4㎞ 구간이 추가로 복선 전철로 바뀌었다.
기존의 무궁화호, 새마을호 열차에 더해 ITX-마음이 하루 2회 증편되면서 용산∼홍성 구간의 하루 운행 횟수는 총 30회로 늘어난다.
오는 2027년 말 홍성∼대야(군산) 구간(82.3㎞)도 개통되면 장항선과 서해선이 하나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연결돼, 전북 익산부터 충남과 수도권으로 이어지는 서해안 철도 교통망이 완성된다.
평택선은 지난 2015년 1단계 구간인 숙성∼평택(13.4㎞)이 개통한 데 이어 이번에 2단계 안중∼숙성 9.4㎞ 구간이 새로 건설됐다. 이로써 비전철 구간이었던 1단계를 포함한 전체 구간(22.8㎞)을 전철화했다.
이 노선은 평택항과 배후 물류단지의 급등하는 물동량을 처리하며 경부선 등에 집중된 화물 물동량을 분산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했다.
X
서해선·장항선·평택선 열차 운영 계획 [국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토부는 평택선, 서해선, 장항선 3개 노선을 연계해 홍성∼천안∼평택∼안중을 순환하는 ITX-마음 열차도 하루 6회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