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공의 손에 들린 사직서 (사진=연합뉴스)
정부의 비상진료대책에 따르면 전공의가 이탈해 의료진이 부족해진 대형병원의 경우 중증·응급 수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위급하지 않은 환자는 주변 병원으로 분산시키고, 공보의·군의관을 투입한다는 계획이지만 진료 거부가 3주 이상 지속되면 이런 대책도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복지부는 2020년 의대 증원을 추진했을 당시 전공의의 '무기한 총파업' 경험을 토대로, 이번에도 30∼50% 정도의 진료 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
정통령 중앙사고수습본부 중앙비상진료상황실장은 "2∼3주 정도는 기존 교수님들과 전임의, 입원전담전문의, 중환자실전담전문의 등 전공의를 제외한 인력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그 이상으로 기간이 길어지면 이분들의 피로도가 누적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임상강사, 펠로 등으로 불리는 '전임의'들도 사직 대열에 가세할 경우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의료 공백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임의는 전공의 과정을 마치고 전문의를 취득한 후 병원에 남아 세부 전공을 배우는 의사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