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밖 떠도는 K-문화유산 24만6천여점…일본 > 미국 > 독일 순
문화재청·국외소재문화재재단 통계…현지 조사·활용 관심

지난해 기증 포함 1천550점 환수…'K-공유유산' 보호·활용 추진

X
지난해 환수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연합뉴스 자료사진]

12일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 기준으로 과거 도난이나 약탈, 거래, 선물 등 다양한 이유로 각국에 흩어져 있는 우리 문화유산은 총 24만6천304점으로 추산된다.

세계 29개 국가의 박물관, 미술관 등 803곳에 있는 한국 문화유산을 조사한 결과다.

지난해 1월 기준(24만6천272점)과 비교하면 소폭 늘었다.

X
국외소재문화유산 현황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가별로 보면 도쿄국립박물관을 비롯해 일본 내 397개 기관 및 개인이 소장한 한국 문화유산이 10만9천801점으로, 전체의 44.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6만5천355점(26.5%), 독일 1만5천692점(6.4%), 중국 1만3천10점(5.3%), 영국 1만2천805점(5.2%), 프랑스 6천511점(2.6%) 등이 뒤를 이었다.

X
[그래픽] 국외 소재 한국문화유산 현황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kmtoil@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각 문화유산이 한국 땅을 떠난 이유는 여러 가지로 추정된다.

과거 서구열강의 침탈, 일제강점기 등 역사적 혼란을 겪으며 불법적이거나 부당한 방법으로 유출된 사례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정상적 거래나 기증, 외교 선물 사례도 적지 않다.

X
주요 국가의 한국 문화유산 현황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외 반출 기록이 정확하지 않거나 소장 정보가 온전히 공개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하면 실제 나라 밖에 있는 한국 문화유산은 통계 수치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수집된 내용을 토대로 주요 문화유산의 환수를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1804년 추정∼1866년 추정)가 제작한 병풍식 지도첩인 '대동여지도'를 비롯해 총 1천550점(1천83건)이 국내로 돌아왔다.

X
지난해 환수한 '묘법연화경 권제6' [연합뉴스 자료사진]

문화재청은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리고 현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를 위해 2개 이상의 국가가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나누는 '공유유산' 개념을 도입해 미국, 프랑스 등 주요 국가와 현황 조사,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유럽에 있는 문화유산 환수를 위한 거점을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재단은 미국과 일본 두 곳에서만 해외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X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