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설 연휴 취약층 위한 '우리동네 펫 위탁소' (사진=연합뉴스)

6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보험사가 보유한 팻보험 계약 건수 합계는 10만9천88건으로 전년(7만1천896건)보다 51.7% 증가했다.

다만 반려동물 개체수가 799만 마리(2022년 농림축산식품부 국민의식조사 기준)로 추정되는 점을 감안하면, 반려동물의 펫보험 가입률은 1.4%에 그친다.

반려동물 보험 가입률은 2020년 기준으로는 0.4%에 불과했고, 2021년 기준으로는 0.7%, 2022년에는 0.9% 수준이었다. 국내 반려동물 가구는 602만 가구로 전체의 25.4%에 달한다.

실제 국내 펫보험 가입률은 영국(25.0%)이나 일본(12.5%) 등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펫보험 활성화를 위해 동물병원이나 펫샵 등에서 반려동물보험 가입이 확대될 수 있도록 단기(1년 이하) 보험상품뿐만 아니라 장기(3∼5년) 보험상품까지 가입이 가능하게 관련 규정을 개정, 조만간 시행할 예정이다.

손보업계는 동물진료 표준 진료코드가 없고, 동물진료기록부 발급이 의무화되지 않는 등 제도적 기반이 미흡하고 진료비 관련 통계와 데이터 부족으로 보험료 산정 및 손해율 관리가 어렵다는 점을 상품 개발 등 펫보험 시장 확대에 부담으로 꼽고 있다.